사건사고

불화수소 국산대체

컨텐츠 정보

본문

LG 脫일본 프로젝트 시작…불화수소 국산 대체

LG그룹이 일본의 반도체ㆍ디스플레이 핵심소재(불화수소, 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불화수소 국산화 작업에 돌입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일본 공급선을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든 만큼 불화수소를 국산으로 바꾼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주요 IT기업들의 소재 '탈(脫)일본' 프로젝트가 구체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그룹 계열사인 LG디스플레이는 최근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소재인 불화수소를 기존 일본산에서 국산으로 교체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LG 주력 사업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부문이 일본의 수출 규제로 지장을 받지 않기 위한 고육책이다.

LG는 국내 A기업의 불화수소 제품을 선정하고, 안전성 테스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약 한 달의 테스트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진다. LG는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이 확보되면 곧바로 생산공정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A기업의 불화수소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A기업은 불화수소의 원료인 중국산 형석이나 추출물을 직접 수입ㆍ추출ㆍ가공ㆍ판매해온 업체로 알려져 있다. LG는 이같은 경로로 생산되는 A사 불화수소를 채택할 경우 일본 수출 규제를 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기존 스텔라, 모리타 등에서 수입한 일본산 불화수소를 사용해 왔다.

업계 한 관계자는 "LG가 디스플레이 식각ㆍ세정에 사용되는 불화수소를 국산으로 대체 가능하다고 판단, 테스트를 시작했다"며 "장비 교체 등은 별도로 필요없어 안정성만 확보된다면 즉각적인 채택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988173728_LpXwUqBa_4abdb516926a78b167d2a86b585a0ed635c6828d.gif


반도체ㆍ디스플레이 핵심소재 국산화는 국내 소재 산업 기술 개발을 이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그중에서도 디스플레이 부문은 반도체 보다 요구 품질이 상대적으로 낮아 소재 국산화가 유리하다고 보고 있다. 반도체 기업들은 1억분의 1(나노) 반도체 공정에서 '파이브 나인'(99.999%) 급의 고순도의 불화수소를 써야 수율(생산량 대비 결함 없는 제품 비율)이 높아지고, 품질도 담보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공정은 반도체 기업 보다는 소재 선택의 폭이 넓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도 불화수소 국산화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국내 불화수소 제품을 낙점하고, 조만간 테스트 작업에 돌입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국산 불화수소를 생산공정에 채택하더라도 충분한 물량 확보가 쉽지 않다.

반도체 업체 고위 관계자는 "불화수소는 일본에서 주로 수입됐지만 국내에서도 이미 생산을 하고 있어서 국산 제품 생산공정 채택이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며 "물량적인 면에서 추가 수요가 있을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988173728_Wj7MJTql_74f3da93f31a22307056473f400a35de9f07a96e.jpg




관련자료

댓글 5

그녀가웃잖아님의 댓글

LG디스플레이가 불화수소 품질이 반도체보다 낮은걸 써도 괜찮아서 가능한거긴 하지만
국내에서 생산하는게 수입하는거보다 단가가 비싸서 그동안 안한거라서..
이런걸 감수하면서까지 no제팬 에 동참하는 마인드를 칭찬해줘야합니다.
전체 380 / 19 페이지
번호
제목
이름
More forecasts: 4 wochen wetter


공지사항


최근글


최근댓글


명예의전당

회원랭킹

방문자통계


알림 0